빅데이터 분석기사
빅데이터 이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획, 빅데이터 수집·저장·처리,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한다.
빅데이터 분석기사를 준비하는 이유
빅데이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,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각종 은행의 디지털 부서, ICT 부서 등 전산에 관련된 부서들의 공고를 확인하면 대부분 들어가 있는 공통적인 자격증이 있다.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증도 그 중 하나이며, 대규모 데이터들을 다룰수 있는 기회가 왔을 때 기본적인 이론을 가지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취득을 목표로 하게 되었습니다.
대부분의 공채 OO 은행은 ADP, DAP, SQLP, CISA, CISSP, PMP, CCNA, CCNP, 빅데이터분석기사, 정보보안기사 등 합격자 및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사항에 넣고 있다.
빅데이터 분석기사에 대한 내용은 데이터자격검정 사이트를 참고 하였습니다.
빅데이터 응시자격
다음 중 하나에 해당 되는 사람 ( 졸업증명서 및 경력 증명서 제출 필요)
- 대학 졸업자등 또는 졸업 예정자 (전공 무관)
-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1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(전공, 직무분야 무관)
-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2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(전공, 직무분야 무관)
-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(종목 무관)
-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(종목 무관)
-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1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(종목, 직무분야 무관)
-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2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(종목, 직무분야 무관)
-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(종목, 직무분야 무관)
- 4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 (직무분야 무관)
응시자격 증빙 서류
구분 | 내용 |
제출서류 |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최종학력증명서 자격증 사본 |
빅데이터 분석기서 합격 기준
필기시험 합격 기준 | 실기시험 합격 기준 |
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1. 전 과목 40점 이상 - 과락 2.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|
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|
빅데이터 분석기사 일정
필자의 경우 빅데이터 분석기사 제 6회 를 진행할 예정이며, 최종적으로는 6월 이전에 모든 일정을 마칠 예정이다.
구분 | 회차 | 접수기간 | 수험표발급 | 시험일 | 사전점수공개 및 재검토 접수 |
결과발표 | 증빙서류 제출기간 |
|
빅데이터 분석기사 |
||||||||
제 8회 | 필기 | 3.4 ~ 3.8 | 3.22 | 4.6(토) | 4.19~4.23 | 4.26 | 4.29~5.9 | |
실기 | 5.20 ~ 5.24 | 6.7 | 6.22(토) | 7.5~7.9 | 7.12 | - |
빅데이터 분석기사 출제 기준
1. 필기
1.1 출제 기준
필기검정방법 | 객관식 | 문제 수 | 80 | 시험 시간 | 120분 |
1.2 과목별 주요 항목
필기과목명 | 문제 수 | 주요항목 |
빅데이터 분석기획 | 20 | 빅데이터의 이해 |
데이터 분석 계획 | ||
데이터 수집 및 저장 계획 | ||
빅데이터 탐색 | 20 | 데이터 전처리 |
데이터 탐색 | ||
통계기법 이해 | ||
빅데이터 모델링 | 20 | 분석모형 설계 |
분석기법 적용 | ||
빅데이터 결과 해석 | 20 | 분석모형 평가 및 개선 |
분석결과 해석 및 활용 |
2. 실기
2.1 출제 기준
실기검정방법 | 통합형(필답형, 작업형) | 시험시간 | 180분 |
2.2 과목별 주요 항목
실기과목형 | 주요항목 |
빅데이터 분석실무 | 데이터 수집 작업 |
데이터 전처리 작업 | |
데이터 모형 구축 작업 | |
데이터 모형 평가 작업 |
빅데이터 분석기사를 알아보며
빅데이터 분석기사는 올해로 제 6회, 제 7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자격증 시험이 연 2회 라는 점 과 현재 시점 전까지의 시험이 단 5회 밖에 없다는 점에서는 응시자들이 불안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필자는 2020년도에 정보처리기사가 개편 전에 정보처리기사를 최종 합격했고, 2023년 OO 은행 전산 필기 시험을 볼 때 개편 된 정보처리기사 책으로 공부하였다. 개편 전 후로 바뀐 점도 많고 헷갈리는 부분도 있었지만, 결국은 공통적인 부분과 핵심적인 부분을 잡고 공부하면 된다는 생각이다. (필자는 시험을 볼 때마다 흰 색 용지에 새로 적는 느낌이었습니다.)
변하는 시대에 맞춰 공부를 하는 것은 개발자의 지향해야하는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.
빅데이터 분석기사를 따려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. 스스로의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되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 입니다.
이미 이런 글을 보고 있는 독자분들께서는 바뀌려는 자세가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. 제 6회 시험 전에 내용들을 정리해서 블로그에 요약하여 올릴 생각입니다. 같이 공부하고 같이 노력하고 같이 합격했으면 좋겠습니다.